본문 바로가기

정부지원금,복지정책/근로장려금

🤔 나는 받을 수 있을까?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 계산법

반응형

 

근로장려금을 신청하고 싶은데,
내가 받을 수 있는 대상인지 모르겠어요!”라고 고민하고 계신가요?

근로장려금은 소득과 재산 조건이 매우 구체적하기 때문에
자격이 되는지 사전에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오늘은 2025 근로장려금의 소득 기준과 계산법,
그리고 쉽게 판단하는 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! 💡


✅ 근로장려금이란?

근로장려금(EITC)은 근로자, 사업자, 종교인 중
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은 가구에게
최대 330만 원까지 현금 지원해주는 복지제도입니다.

단, 아래와 같은 소득 요건재산 요건을 만족해야 해요.


📋 2025년 근로장려금 소득 기준 요약

가구 유형 연간 총소득 기준
단독 가구 2,200만 원 미만
홑벌이 가구 3,200만 원 미만
맞벌이 가구 3,800만 원 미만
 

💡 ‘총소득’에는 근로소득, 사업소득, 기타소득, 이자·배당 등 금융소득이 포함됩니다.


📌 소득 유형별 계산법

① 근로소득

  • 직장인/알바 소득이 대표적
  • 국세청 홈택스 → 원천징수영수증 또는 종합소득금액증명 조회 가능
  • 월 급여 × 12개월 = 연간 총 근로소득 (비과세 제외)

② 사업소득 (프리랜서 포함)

  • 사업소득 – 필요경비 = 총소득
  • 홈택스에서 종합소득금액 확인서로 확인

③ 기타소득

  • 강연료, 일시적 원고료 등
  • 연간 300만 원 초과 시 합산 필요

④ 금융소득

  • 이자, 배당 포함
  • 연간 2,000만 원 이하는 종합소득으로 신고

📌 실제 예시로 보는 계산

예시 1️⃣
단독 가구 / 월급 160만 원 / 연봉 1,920만 원
총소득 1,920만 원 < 기준 2,200만 원 → 대상 O

예시 2️⃣
맞벌이 가구 / 남편 연봉 2,000만 원, 아내 프리랜서 소득 1,800만 원
→ 합산 총소득 3,800만 원 → 기준선!
→ 소득 외 재산 2억 미만 시 신청 가능

예시 3️⃣
홑벌이 가구 / 연봉 3,500만 원
기준 3,200만 원 초과 → 대상 X


🧾 소득 확인 방법 (홈택스 기준)

  1. 국세청 홈택스 접속
  2. [My 홈택스] → [소득 조회] → [지급명세서 등 열람]
  3. 연도 선택 후 ‘총급여액’과 기타소득 합산 확인

혹은

  • 종합소득금액증명서 발급으로 간단히 확인 가능
  • 스마트폰은 손택스 앱 이용 가능

💡 보너스! 재산 요건도 함께 확인


 

기준일 기준
2024년 6월 1일 본인 및 배우자의 재산 합계 2억 원 미만
 

재산에는 아래가 포함됩니다:

  • 전세보증금
  • 부동산, 차량
  • 예금, 주식, 보험해약환급금 등

💡 재산 1.4억 원 초과 시, 지급액 50% 감액되니 참고하세요!


✅ 마무리 정리

📌 소득이 기준금액 미만인지 확인하면 자격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어요!
📌 근로소득 + 기타소득 + 사업소득 + 금융소득 모두 더해야 정확합니다.
📌 소득은 연간 기준, 재산은 6월 1일 기준으로 적용됩니다.
📌 애매할 땐 홈택스에서 ‘간편 신청 대상 여부’ 조회가 가장 정확해요!

 

반응형